💛 우리 집 노랑사랑 이야기 – 강황과 울금이 만든 건강한 하루 우리 집에는 제 마음이 항상 가는 두 남자가 있습니다. 한 남자는 7년 전 사랑하는 사람을 떠나보내고, 혼자서 시골에서 우직하게 농사일만 해오신 제 아빠입니다. 또 다른 한 남자는 올해 성년을 맞이한, 아직 세상보다 집이 더 좋은 ‘집돌이’ 제 아들입니다.이 두 남자에게는 공통점이 하나 있습니다.바로 노란색을 사랑한다는 것, 그리고 그 노란색이 건강을 위한 습관이 되었다는 점입니다. 시골 아버지는 매일 아침 식사 후, 울금가루를 한 숟가락 떠 드시며 하루를 여십니다. 우리 집돌이 아들은 요즘 집에서 카레를 참 자주 해 먹습니다. 그래서일까요? 요즘 저희 집 그릇들은 온통 노란 가루로 곱게 물든 듯합니다.이 두 남자의 ‘노랑님’ 사랑, 지금..
오늘 "기술과 식품의 융합, 푸드테크의 현재와 미래"라는 식품 포럼에 다녀왔습니다. 강연하신 의과대 교수님의 발표 중 인상 깊었던 내용 중 하나가 바로 우엉의 면역력 강화 효과에 관한 이야기였는데요. 우엉이 단순한 식재료를 넘어 건강을 위한 중요한 자원으로 주목받고 있다는 점이 새롭게 다가왔습니다. 그래서 우엉에 대해 좀 더 깊이 알아보고 싶어 이렇게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우엉은 우리가 반찬이나 차로 자주 접하는 친숙한 식재료이지만, 사실 한약재로도 오랫동안 사용되어 온 귀한 약재입니다. 한의학에서는 우엉의 열매를 ‘우방자(牛蒡子)’, 뿌리를 ‘우방근(牛蒡根)’이라 부르며, 각각의 부위를 질병 치료에 적절히 활용해 왔지요.오늘은 이 우엉의 한의학적 효능부터 체질에 따른 주의사항까지 알아두면 건강에 도움이..
🌿 황련이란?황련은 쓴맛이 강하고 성질이 차가운 약초입니다. 주로 염증을 가라앉히고, 열을 내려주며, 소화기관의 문제를 개선하는 데 사용됩니다. 특히 입 안이 헐거나, 위가 아프고, 몸속에 열이 많을 때 쓰입니다.📌 1. 황련의 기원은?황련은 ‘Coptis’속의 식물 뿌리줄기(근경)를 약으로 사용합니다. 주로 다음 네 가지가 황련으로 인정됩니다.중국황련 (Coptis chinensis Franch.)삼각엽황련 (Coptis deltoidea)운련 (Coptis teeta)황련 (Coptis japonica)⚠️ 주의할 점: ‘깽깽이풀’로 불리는 毛黃連은 외형이 비슷하지만, 정식 황련이 아니며, **위품(가짜 약재)**입니다.📌 2. 황련의 성미(性味) 성질(성): 차가움(寒)맛(미): 씀(苦)👉 ..
혹시 ‘인진호’라는 이름을 들어보셨나요? 예로부터 황달 치료에 쓰이던 대표 한약재입니다.하지만 최근에는 단순한 민간요법을 넘어, 과학적으로도 간 건강에 효과가 입증되면서 다시금 주목받고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최근 연구에서 밝혀진 인진호 다당류(Artemisia capillaris Thunb. polysaccharide, APS)의 작용 기전과 효과를 중심으로, 담즙 정체성 간질환과 장내 미생물 간의 연결 고리까지 쉽게 풀어보겠습니다.1. 왜 인진호가 주목받고 있을까? 한의학에서는 담즙 정체를 황달(jaundice)로 보고 치료하며, 이때 사용되는 대표 약재가 인진호입니다.그중에서도 다당류(polysaccharide)는 인진호의 주요 성분으로서 주목받고 있으나, 지금까지는 담즙 정체에 대한 과학적 근거가..
쑥 하면 향긋한 봄의 내음이 먼저 떠오르시나요? 하지만 쑥은 단순한 나물 그 이상입니다. 우리는 흔히 ‘쑥’이라 부르지만, 한의학에서는 쑥을 ‘애엽(艾葉)’ 또는 ‘인진호(茵蔯蒿)’라고 부르며 각각 다른 용도로 사용됩니다. 이 두 가지 모두 국화과에 속하는 식물이지만, 쓰이는 부위와 효능이 다릅니다.🍃 애엽(艾葉)은 주로 약쑥(Artemisia princeps Pamp.)으로, 잎을 중심으로 따뜻하게 데우는 효능이 있어 뜸(구) 치료나 생리통, 냉증 완화에 많이 사용됩니다. 반면,🍃 인진호(茵蔯蒿)는 사철쑥(Artemisia capillaris Thunb.)으로, 주로 간 기능 개선, 황달 제거, 습열 청열 작용에 탁월한 약재입니다.즉, 쑥이라고 모두 같은 약효를 가진 것이 아니며, 어떤 품종인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