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위염 실험을 하기 위해 1차적으로 해야 할 것은 동물실험계획서 승인을 받아야 해요. 임상이었을 경우엔? 이 부분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해볼게요. ✅ SMR의 한마디: (1)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IRB(기관생명윤리위원회, Institutional Review Board)의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IRB는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생명윤리적 문제를 검토하고, 연구 대상자의 권리·안전·복지를 보호하기 위해 운영되는 위원회입니다.🧬 IRB 승인 대상 예시설문조사, 인터뷰 등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행동 연구혈액, 조직, 소변 등의 인체유래물을 사용하는 연구환자 진료기록(EMR 등)을 이용한 후향적 연구건강검진 결과를 분석하는 연구임상시험(신약, 의료기기 등)📄 IRB 제출 서류(일반적으로..
오늘은 실험동물에 투여하는 용량에 대한 2번째 시간을 가져보려 해요.요새 기존 고서에 나온 한약의 과학화를 위한 작업의 일환으로, 다양한 처방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되고 있어요.이에 따라, 투여 용량을 인간 복용 기준으로 환산하여 실험에 적용하는 추세가 늘고 있네요. ✅ SMR의 한마디: 저도 해에 1번 정도는 투여 용량을 인간이 먹는 용량으로 환산해서 투여하는 실험을 진행하고 있네요. 우리 실험실의 경우엔 퇴행성 골관절염이나 창상 모델의 경우 주로 한약 처방을 사용하고 그 처방을 인간이 먹는 용량으로 계산해서 (즉, 표준적인 100 mg/kg 나 200mg/kg가 아닌) 경구 투여를 하네요. 그럼 좀 더 자세히 살펴볼게요. ✅ SMR의 한마디: 우리는 흔히, 인간이 마우스나 래트보다 몸집이 크기..
오늘은 실험동물에 투여하는 용량에 대한 2번째 시간을 가져보려해요.요새 기존 고서에 나온 처방들의 과학화를 위한 작업으로 처방에 대한 연구를 많이 하게 되요. 그래서 투여 용량을 인간이 먹는 용량으로 환산해서 투여를 하게되네요. ✅ SMR의 한마디: 요새 기존 고서에 나온 처방들의 과학화를 위한 작업으로 처방에 대한 연구를 많이 하게 되요. 그래서 투여 용량을 인간이 먹는 용량으로 환산해서 투여를 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요. 우리 실험실의 경우엔 골관절염이나 창상의 경우 주로 처방을 사용하고 그 처방을 인간이 먹는 용량으로 계산해서 (즉, 표준적인100 mg/kg 나 200mg/kg가 아닌) 경구 투여를 하네요. 그럼 좀 더 자세히 살펴볼께요. ✅ SMR의 한마디: 우리가 얼핏 생각하기에 인간이 마우..
오늘은 실험동물에 투여하는 용량에 대해서 알려드릴게요. 1탄에서 약물투여군은 아래와 같다고 했습니다. ✅ SMR의 한마디: 대개의 동물실험에서 100mg/kg나 200mg/kg를 사용합니다. 그 이유는 많은 동물실험 연구에서 100mg/kg과 200mg/kg은 흔히 사용되는 용량으로, 기존 연구와 비교하기 쉽고, 저용량과 고용량을 비교하여 용량-반응 관계를 분석하는 데 유용하기 때문입니다. 대개 고용량인 경우가 좋지 않을까? 생각할지도 모르지만 오일성분이나 아니면 간손상이 악화되어 간섬유화에 이르게 되면 되려 고농도보다는 저농도에서 효과가 잘 나오기도 해요. 만약 인간에게 적용할 한양방 소재를 만들려고 한다면 50mg/kg나 100mg/kg를 사용하게 됩니다. 여기서 kg라고 하는 것은 마우스(생쥐)나..
이제 한약재 선정관련해서 이야기해 볼게요. 1. 논문에서 한약재 선택의 중요성한약재를 선택하는 일은 단순히 특정 약재를 고르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갖습니다. 특히 논문을 쓸 때는 단순한 실험적 관점뿐만 아니라, 그 약재가 갖는 효능과 과학적 근거를 충분히 고려해야 합니다. 만약 당신이 연구 논문을 쓸 때 한약재를 선택해야 한다면, 이 선택이 향후 연구의 성과를 좌우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하지만 한약재는 그 수가 많고, 각각의 효능과 효과가 다양하여, 처음 연구를 시작하는 사람들에게는 그 선택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한약재를 선택해야 할까요?1-1. 한약재 선택의 첫 번째 기준: 연구 목적에 맞는 효능한약재를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한 기준은 연구 목적에 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