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실험동물에 투여하는 용량에 대한 2번째 시간을 가져보려해요.
요새 기존 고서에 나온 처방들의 과학화를 위한 작업으로 처방에 대한 연구를 많이 하게 되요.
그래서 투여 용량을 인간이 먹는 용량으로 환산해서 투여를 하게되네요.
✅ SMR의 한마디: 요새 기존 고서에 나온 처방들의 과학화를 위한 작업으로 처방에 대한 연구를 많이 하게 되요. 그래서 투여 용량을 인간이 먹는 용량으로 환산해서 투여를 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요. 우리 실험실의 경우엔 골관절염이나 창상의 경우 주로 처방을 사용하고 그 처방을 인간이 먹는 용량으로 계산해서 (즉, 표준적인100 mg/kg 나 200mg/kg가 아닌) 경구 투여를 하네요. 그럼 좀 더 자세히 살펴볼께요.
✅ SMR의 한마디: 우리가 얼핏 생각하기에 인간이 마우스나 래트보다 크기에 더 많은 용량을 먹을 것이라 생각할 수 있어요. 하지만 그렇지 않아요. 마우스나 래트가 체표면적이 더 넓기에 더 많은 양을 필요로해요.
즉. 그게 Conversion Facter라는 것이에요. 즉 마우스의 경우는 12.33을 곱해주어야하고 래트는 6.17을 곱해줘야
된다는 소리이지요. 그런데 우리는 한약 처방을 받으면 액상이잖아요? 그래서 그 액상을 파우더로 만들어야 계산할 수가 있어요. 그럼 예시로 아래와 같은 아무개탕이 있어요. 아무개탕 1첩은 36.75g이에요. 그런데 처방 구성 약재가 아무개탕 처럼 뿌리류가 많다면 동결된 파우더가 많이 나오지만 잎 위주로 되어 있다면 수율이 너무 적어요.
한약재에서 수율은, 한약을 만들기 위한 원료(예: 약초, 식물 등)에서 추출하거나 가공한 후 얻을 수 있는 활성 성분의 양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특정 한약재에서 약리 효과가 있는 성분을 추출하려고 할 때, 그 성분이 얼마나 잘 추출되었는지를 수율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한약재의 수율은 여러 가지 요인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약재의 품질, 가공 방법, 추출 시간, 온도, 용매의 종류 등에 따라 수율이 달라집니다. 즉, 같은 한약재라도 다른 추출 방법을 사용하면 수율이 다를 수 있죠.
예를 들어, 한약재인 황기에서 유효 성분인 사포닌을 추출한다고 할 때, 이 추출 과정에서 얻을 수 있는 사포닌의 양을 수율로 측정합니다. 만약 100g의 황기에서 이론적으로 10g의 사포닌을 얻을 수 있는데, 실제로 8g을 얻었다면 수율은 80%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 수율을 높이기 위한 연구나 실험이 진행되기도 합니다.
✅ SMR의 한마디: 간단히 말해서 황기 100g을 물추출한다고 했을 시 거의 10배수를 넣어서 추출하게 되요. 실험실에 따라서는 1번이 아닌 2번을 할 수도 있구요. 이런 경우 논문쓸 때 실험방법에 구체적으로 기재하면 되요. 정해진 룰은 없어요. 저희는 약탕기의 물이 끓기 시작하면 그 때를 기준으로 2시간 동안 추출을 하네요. 그러면 용액이 많겠지요? 100의 10배수이니 1L이면 그보다 더 적은 양이 나오는데 대략 800mL로 잡아볼께요. 필터페이퍼로 불순물을 거르고 남은 용액은 45-50도로 셋팅된 감압농축기에서 쫄여주네요(ㅎㅎ 농축한다는 말이네요). 그럼 내용물이 확~~~ 줄어들어요. 그 후에 동결건조기를 이용하네요. 그냥 넣는다고 치면 너무많은 시간과 구동하는 돈이 많이 들기에 동결건조 전 감압농축은 필수네요.
그리고 4첩?
어떨땐 첩수가 더 늘수도 있어요. 이유는? 마우스는 용량이 적게 들어가지만 래트는 용량이 많이 필요하기에 실험기간을 고려해서 충분한 양을 추출하여 파우더로 만드네요. 안그럼 실험 중간에 다시 추출-감압농축-동결건조의 과정을 반복해야하기에.
아무개탕을 파우더로 했떠니 9.1g이 나왔어요. 이게 성인 60kg이 하루에 먹을 양이에요.
실제 1첩만을 복용하지는 않지만 동물에 투여들어가는 양 감안. 실험상황을 고려하여 1첩을 먹는다고 가정 후 최대한 근접화하여 투여를 하게 되네요. 일반적으로 한약에서 "첩"은 하루 분량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2첩은 하루에 복용할 양으로 간주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한약을 하루에 2첩씩 복용한다고 하면, 2첩이 하루분량이라는 뜻입니다.
[실험-실전] 급성 위염 모델에서 한약재의 효과 평가를 위한 동물 실험 3탄 (0) | 2025.04.05 |
---|---|
[실험-실전] 급성 위염 모델에서 한약재의 효과 평가를 위한 동물 실험 3탄 (0) | 2025.04.04 |
[실험-실전] 급성 위염 모델에서 한약재의 효과 평가를 위한 동물 실험 2탄 (0) | 2025.04.03 |
논문 작성 EASY 가이드: 초보자도 쉽게 따라 하는 A to Z (3편) (0) | 2025.03.31 |
논문 작성 EASY 가이드: 초보자도 쉽게 따라 하는 A to Z (2편) (0) | 202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