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이 종료되어 3월부터 실업자가 되었네요. 그래서 실업급여를 받기 위해 구직활동을 하고, 온라인 교육을 수료하기 위해 동영상 시청도 했어요. 확실히 고용노동부에서 깔끔하게 정리한 동영상이 실업급여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되더라고요. 시청 완료 후 14일 이내에 관할 고용센터를 방문해야 하니, 날짜를 체크해 두고 방문해야겠어요. 소중한 실업급여, 꼭 챙겨야죠!
실업급여는 고용보험에 가입한 근로자가 비자발적으로 실직했을 때 구직 활동을 하는 동안 생계를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실업급여 중 구직급여는 실직자가 재취업을 준비하는 동안 지급되는 급여로, 일정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구직급여를 받을 수 있는 기간은 이직 당시 연령과 고용보험 가입 기간에 따라 다릅니다.
구직급여는 신청 후 바로 지급되지 않습니다. 7일간의 대기기간이 적용되며, 이 기간 동안은 급여가 지급되지 않습니다.
단, 자발적 이직의 경우 추가적인 수급 제한 기간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구직급여를 받기 위해서는 아래의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자발적 퇴사의 경우 원칙적으로 구직급여를 받을 수 없지만, 예외적으로 인정되는 경우가 있습니다(임금 체불, 사업장 이전 등).
구직급여를 받기 위해서는 다음 절차를 따라야 합니다.
조기 재취업수당은 구직급여를 받는 사람이 실업급여 수급기간 중 재취업하여 일정 요건을 충족하면 받을 수 있는 장려금입니다. 남은 구직급여의 50%를 지급하며, 수급자의 조기 재취업을 유도하는 목적이 있습니다. 수급 조건은 ① 구직급여 지급일 수의 2/3 이상이 남아 있을 것, ② 1년 이상 계속 근무할 것 등의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신청은 재취업 후 12개월 이내에 가능하며, 고용보험 사이트나 관할 고용센터에서 진행할 수 있습니다.
[조기 취업수당 지급이 제외되는 경우]
구직급여는 실업자의 생계를 지원하는 중요한 제도입니다. 하지만 이를 받기 위해서는 수급요건을 충족하고, 정해진 절차를 성실히 이행해야 합니다. 실업급여 신청을 준비 중이라면 위의 내용을 참고하여 신청 절차를 차근차근 진행하시길 바랍니다. 또한, 재취업 활동의 종류에는 구직활동(입사 지원, 면접 응시, 채용박람회 참석하여 면접 등)과 구직 외 활동(취업특강, 직업훈련, 취업지원프로그램 이수 등)이 있으며, 단 재취업활동은 수급자 유형별로 상이하게 인정될 수 있습니다. 또한, 영어 등 어학 관련 학원 수강은 재취업활동으로 인정되지 않음에 주의해야 합니다.